본문 바로가기
인물&연예인/정치인 & 기업인

더불어민주당 X맨 의혹 받는 진성준 프로필과 과거 어록(발언, 한동훈, 주식, 부동산 등)

by 생생정보 알리오 2025. 8. 3.

진성준, 민주당 정책을 설계하는 조용한 실세?

https://youtu.be/w6Ss_yDgvV0

 

✅ 기본 프로필

  • 이름: 진성준 (陳聲準)
  • 출생: 1967년 4월 19일 (만 58세)
  • 출생지: 전라북도 전주시
  • 본관: 여양 진씨
  • 거주지: 서울시 강서구
  • 가족: 배우자 있음, 자녀 2명(1남 1녀)
  • 병역: 육군 이병 소집해제 (1989.3.6 ~ 1991.2.12)

 

✅ 학력

  • 전주 동암고등학교 졸업
  • 전북대학교 법학과 졸업

 

✅ 정치 이력 및 주요 경력

  1. 장영달 국회의원 정책보좌관
  2. 국회사무처 정책연구위원
  3. 민주통합당 전략기획위원장
  4. 제19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 민주통합당)
  5. 문재인 후보 중앙선대위 대변인 (2012년 대선)
  6. 서울시 정무부시장 (박원순 시장 시절)
  7. 제21대 국회의원 (서울 강서구 을 / 더불어민주당)
  8. 제22대 국회의원 (현직)
  9.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
  10. 국정기획위원회 부위원장 (이재명 정부)

 

✅ 정치 성향과 평가

  • 정책 설계와 실무에 강한 ‘조용한 브레인’
  • 금융세제·민생 개혁 등 원칙 있는 소신파
  • 여야 협력 강조하며 비정쟁형 정치 지향

 

✅ 최근 주요 활동 (2024~2025년)

  • 민생 법안 처리 총괄: 관리비, 디스커버리제, 하도급 인건비 보장 등
  • 공통공약 200여 건 중 80건 선별해 여야 협상 추진
  • 강한 메시지보단 실무 전략으로 존재감 확장 중

 

✅ 리더십 스타일

항목 성향
정치 노선 중도 실용, 원칙 우선
발언 스타일 온건, 조율 중심
핵심 키워드 #민생우선 #정책설계자 #소신주의
당내 이미지 강경파는 아니지만 중심 잡는 실무형 브레인

 

✅ 정치인으로서의 특징

  • 강점: 국회·청와대·지방정부 경력, 정책 설계 전문성, 원칙 있는 이미지
  • 약점: 낮은 대중 인지도, 강성 지지층 사이 존재감 부족

 

✅ 과거 논란된 발언들

 

1. 부동산 관련 발언

“그렇게 해도 안 떨어질 겁니다. 부동산이 뭐 어제오늘 일이냐”

  • MBC '100분 토론' 직후 반사적 발언으로 논란.
  • 김현아 의원의 “집값 빠지면 경제 부담” 발언에 답하며 나온 말(논란되는 대화)
  • 진 의원은 논란 후 “정부 대책을 무용화하려는 의도는 없었고, 하락 괴담을 경계하는 차원이었다”고 해명

https://www.yna.co.kr/view/AKR20200717021400001

출처: MBC 100분 토론

 

 

 

부동산 통계를 정부에 유리하게 인용했다는 지적

  • 전세시장 안정화 과정에서 한국감정원·KB통계를 각각 다른 기간 기준으로 비교하며 통계 편향 인용 논란
  • 비판론자들은 “통계의 기간·방식이 다른데 정부 유리하게 활용했다”고 지적함
  • 기사보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3783676?sid=101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실패 아닌 ‘시장 실패’”라는 발언

 

“1가구 1주택만 소유하라”“세제 개편 안한다” 등의 소극적 개입 자세

  • 부동산 세제 개편 당장은 검토하지 않겠다는 발언과 1가구 1주택 원칙 강조 등도 비판 대상이 됨

 

2. 주식·세금 관련 발언

  • “주식투자 해본 적 없다”
    • 본인이 주식시장 경험이 없다는 발언으로, 주식세제 개편 논의에 대한 신뢰성 부족 지적 (제공 정보 기준)

https://youtu.be/UReLGPvPqIE

 

 

  • 주식 대주주 과세 기준 회복과 시장 하락 시 “투자 적기”로 인식하겠다는 발언
    • 주가 하락을 기회로 본 발언은 일부 투자자에게는 조장성 메시지로 오인될 수 있음 (제공 정보 기준)
    • https://youtu.be/nh6tYn9DHs4

3. 인성·발언 논란 사례

 

  • 허위 사실 유포 지적
    • 특정 발언들이 사실과 상관없는 내용으로 퍼졌다는 비판 존재 (제공 정보 기준)
구분 발언 또는 사례 내용 논란 요점
부동산 가격 발언 “그렇게 해도 집값 안 떨어진다” 정부 정책 효과를 부정하는 인상, 국민 신뢰 하락 우려
통계 인용 문제 기간·기관이 다른 부동산 통계를 정부에 유리하게 활용 의도적 통계 왜곡 또는 오류 인식 부족 지적
정책 책임 발언 “정책 실패 아닌 시장 실패” 정책 집행 책임 회피, 유체이탈 화법 논란
주식 관련 발언 “주식 투자 안 해봤다 / 하락은 오히려 기회” 정책 입안자의 경험 부족, 시장 불안 조장 가능성
한동훈 외모 비하 “징그럽다” 발언 → 공식 사과 인신공격성 표현 사용으로 품격 논란
허위사실 유포 사실과 다른 발언 유포 지적 정치인의 정보 신뢰성 문제 지적

댓글